맨위로가기

미시시피 프레드 맥도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시피 프레드 맥도웰은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로, 슬라이드 기타 연주로 유명하다. 테네시주에서 태어나 어릴 때 부모를 여읜 후 14세부터 기타를 연주하며 지역 무도회에서 활동했다. 1959년 앨런 로맥스와 셜리 콜린스에 의해 녹음된 것을 계기로 전문 음악가로 활동했으며, 북부 미시시피 스타일의 블루스를 연주하며 슬라이드 기타 기술을 선보였다. 롤링 스톤스의 곡에 영향을 주기도 했으며, 1969년 일렉 기타를 사용한 앨범을 발표했다. 1972년 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미국의 가수 - 프랭크 시나트라
    프랭크 시나트라는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가수이자 배우로, 빅밴드 시대를 거쳐 솔로 가수로서 성공을 거두며 '시나트라마니아'를 일으켰고, '마이 웨이'와 같은 히트곡과 영화 `지상에서 영원으로`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복잡한 사생활로도 유명하다.
  • 20세기 미국의 가수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는 어린 시절의 어려움을 딛고 팝스타로 성공한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다양한 음악적 시도와 오디션 프로그램 심사위원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미국의 블루스 기타 연주자 - B.B. 킹
    블루스의 왕으로 불리는 B.B. 킹은 미시시피 출신의 블루스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멤피스 디스크자키 활동을 통해 음악 경력을 쌓았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와 소울풀한 보컬로 블루스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블루스 기타 연주자 - 미시시피 존 허트
    미시시피 존 허트는 1893년 미시시피에서 태어나 기타를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고, 1928년 녹음 후 상업적 실패로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1963년 재발견되어 활동하며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블루스 가수 - 미시시피 존 허트
    미시시피 존 허트는 1893년 미시시피에서 태어나 기타를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고, 1928년 녹음 후 상업적 실패로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1963년 재발견되어 활동하며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블루스 가수 - 재니스 조플린
    재니스 조플린은 허스키한 보컬과 파워풀한 무대 매너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여성 로커로, 빅 브라더 앤 더 홀딩 컴퍼니의 리드 보컬로 활동하며 솔로 활동으로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27세의 나이로 사망 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미시시피 프레드 맥도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2년, 프레드 맥도웰
본명프레드 맥도웰
출생일1904년 1월 12일
출생지미국 테네시주 로스빌
사망일1972년 7월 3일
사망지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직업뮤지션
싱어송라이터
장르힐 컨트리 블루스
악기기타
보컬
활동 시기1926년 ~ 1972년
레이블Arhoolie
Testament
사이어 레코드
Transatlantic
Infinite Zero
Oblivion
Rounder
Fat Possum

2. 생애

프레드 맥도웰은 테네시주 로스빌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부모님을 여의고 14세에 기타를 연주하기 시작했다.[2] 젊은 시절 멤피스미시시피주 등지를 옮겨 다니며 농사일과 공장 노동을 하는 한편, 지역 무도회 등에서 연주 활동을 이어갔다.[3][2] 1940년경 미시시피주 코모에 정착한 후에도 수십 년간 낮에는 농부로, 밤에는 음악가로 살았다.[2]

1959년, 민속 음악학자 앨런 로맥스와 셜리 콜린스에게 발굴되어 녹음된 것을 계기로[2][4] 그의 음악은 더 넓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미국블루스포크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맥도웰은 전문 음악가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축제와 클럽 무대에 섰다.[5] 그는 특히 슬라이드 기타 연주에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었으며,[6] 이는 그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로 꼽힌다.

맥도웰은 1972년 암으로 세상을 떠났으며,[2] 미시시피주 코모 인근 해먼드 힐 침례 교회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프레드 맥도웰은 테네시주 로스빌(Rossville, Tennessee)에서 태어났다.[2] 그의 부모는 농부였으며, 프레드가 젊었을 때 모두 돌아가셨다. 그는 14세에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고, 곧 로스빌 주변의 무도회에서 팁을 받으며 연주하게 되었다.[2] 밭을 갈던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1926년 멤피스로 이주하여 목화를 기름과 다른 제품으로 가공하는 버크아이(Buck-Eye) 사료 공장에서 일했다.[3] 1928년에는 미시시피주로 이주하여 목화를 땄다.[3] 마침내 1940년경 미시시피주 코모(Como)에 정착하여 수년간 전업 농부로 일하면서 주말에는 무도회와 피크닉에서 계속 음악을 연주했다.[2]

2. 2. 미시시피로의 이주와 음악 활동

1926년 맥도웰은 테네시주 멤피스로 이주하여 Buck-Eye 사료 공장에서 목화를 가공하는 일을 시작했다.[3] 2년 뒤인 1928년에는 목화 따는 일을 하기 위해 미시시피주로 거처를 옮겼다.[3] 이후 1940년경 미시시피주 코모에 최종적으로 정착하여 수년간 전업 농부로 생활하면서, 주말에는 지역의 무도회나 피크닉 등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2]

수십 년 동안 이처럼 소규모 지역 모임에서 연주를 해오던 맥도웰은 1959년, 당시 미국 남부 지역 현장 녹음 여행 중이던 민속 음악학자 Alan Lomax와 Shirley Collins에 의해 발굴되어 그의 연주가 처음으로 녹음되었다.[2][4] 이는 로맥스와 콜린스가 진행하던 Southern Journey 프로젝트의 일부였다.[4]

2. 3. 앨런 로맥스와의 만남과 음악 경력

수십 년 동안 작은 지역 모임에서 연주한 후, 1959년 맥도웰은 순회 민속 음악학자인 앨런 로맥스와 셜리 콜린스[2]에 의해 녹음되었다.[4] 이는 그들의 남부 여행 현장 녹음 여행의 일환이었다.[4] 당시 미국에서 블루스포크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맥도웰의 현장 녹음은 블루스 애호가와 레코드 제작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몇 년 안에 그는 마침내 독립적인 전문 음악가이자 녹음 아티스트가 되었다.[2] 그의 LP는 상당한 인기를 얻었고, 그는 전 세계의 축제와 클럽에서 공연했다.[5]

맥도웰은 수십 년 동안 해왔던 것처럼 북부 미시시피 스타일의 블루스를 계속 연주했는데, 때로는 어쿠스틱 기타가 아닌 일렉 기타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슬라이드 기타 연주에 특히 정평이 나 있었는데, 처음에는 주머니칼을 슬라이드로 사용하고 나중에는 광택 처리된 소갈비뼈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기타 연주법을 배웠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약지에 끼는 유리 슬라이드에서 얻는 더욱 명확한 사운드에 정착했다.[6] 그는 유명하게도 "나는 로큰롤을 연주하지 않는다"고 선언했지만, 젊은 록 음악가들과 어울리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그는 보니 레잇에게 슬라이드 기타 기법을 가르쳤고,[5] 롤링 스톤스가 1971년 앨범 ''스티키 핑거스''에서 그의 〈You Gotta Move〉를 상당히 직접적인 버전으로 연주한 것에 감명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 1965년에는 빅 마마 손튼, 존 리 후커, 버디 가이, 루즈벨트 사이크스 등과 함께 American Folk Blues Festival[2]과 함께 유럽 순회 공연을 했다.[7]

미시시피주 잭슨에 있는 말라코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어 캐피틀 레코드[2]에서 발매된 맥도웰의 1969년 앨범 ''I Do Not Play No Rock 'n' Roll''은 그의 첫 번째 일렉트릭 기타 앨범이었다. 이 앨범에는 블루스의 기원과 사랑의 본질에 대해 논하는 인터뷰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의 라이브 앨범 ''Live at the Mayfair Hotel''(1995)은 그가 1969년에 가진 콘서트 실황이다. 여기에는 부카 화이트의 〈Shake 'Em On Down〉, 윌리 딕슨의 〈My Babe〉, 맨스 립스콤의 〈Evil Hearted Woman〉 그리고 맥도웰이 직접 작곡한 〈Kokomo Blues〉 등의 연주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 올뮤직은 이 앨범이 "맥도웰의 작품 중 최고의 싱글 CD일 수 있으며, 확실히 최고의 콘서트 발매작"이라고 언급했다.[8] 맥도웰의 마지막 앨범[9] ''Live in New York''(Oblivion Records)는 1971년 11월 뉴욕 그리니치빌리지의 빌리지 가스라이트(The Gaslight Cafe로도 알려짐)[10]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이다.[10]

1969년 맥도웰의 포크송 〈John Henry〉 버전은 2019년 발매된 ''Ann Arbor Blues Festival 1969: Vols 1&2''에 수록되어 있다.[11]

2. 4. 음악 스타일과 슬라이드 기타

맥도웰은 수십 년 동안 연주해 온 미시시피 북부 스타일(north Mississippi style)의 블루스를 계속해서 선보였다.[2] 때로는 어쿠스틱 기타 대신 일렉 기타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특히 슬라이드 기타(slide guitar) 연주에 능숙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5] 처음에는 주머니칼을 슬라이드로 사용했고, 나중에는 광택 처리한 소갈비뼈를 이용해 슬라이드 기타 연주법을 익혔다고 전해진다. 결국 그는 약지에 끼는 유리 슬라이드가 내는 더 명확한 소리에 만족하게 되었다.[6]

맥도웰은 "나는 록앤롤을 연주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실제로는 젊은 록 음악가들과 교류하는 것을 즐겼다. 그는 보니 레잇(Bonnie Raitt)에게 슬라이드 기타 기술을 직접 가르쳐 주기도 했으며,[5]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가 1971년 발표한 앨범 《스티키 핑거스》에 그의 곡 "You Gotta Move"를 거의 그대로 실은 것에 대해 만족감을 표했다고 한다.[2] 1965년에는 빅 마마 손튼, 존 리 후커, 버디 가이, 루즈벨트 사이크스 등 당대의 블루스 거장들과 함께 American Folk Blues Festival의 일원으로 유럽 순회 공연을 하기도 했다.[2][7]

1969년에 발매된 맥도웰의 앨범 《I Do Not Play No Rock 'n' Roll》은 미시시피주 잭슨의 Malaco Studios에서 녹음되었고 캐피틀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2] 이 앨범은 그가 처음으로 일렉 기타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며, 블루스의 기원과 사랑의 본질에 대한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인터뷰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라이브 앨범 《Live at the Mayfair Hotel》(1995년 발매)은 1969년 콘서트 실황을 담고 있다. 이 앨범에는 부카 화이트의 "Shake 'Em On Down", 윌리 딕슨의 "My Babe", 맨스 립스콤의 "Evil Hearted Woman", 그리고 맥도웰 자신의 곡인 "Kokomo Blues" 등이 수록되어 있다. 미국의 음악 데이터베이스 올뮤직(AllMusic)은 이 앨범을 "맥도웰의 작품 중 최고의 싱글 CD일 수 있으며, 확실히 최고의 콘서트 발매작"이라고 평가했다.[8] 맥도웰의 마지막 앨범으로 알려진[9] 《Live in New York》(Oblivion Records 발매)은 1971년 11월 뉴욕 그리니치빌리지의 Village Gaslight(The Gaslight Cafe라고도 불림)[10]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을 녹음한 것이다.[10]

2. 5. 후기 활동과 사망

맥도웰은 유명하게도 "나는 록앤롤을 연주하지 않는다"고 선언했지만, 젊은 록 음악가들과 어울리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그는 보니 레잇에게 슬라이드 기타 기법을 가르쳤고,[5] 롤링 스톤스가 1971년 앨범 《스티키 핑거스》에서 그의 곡 "You Gotta Move영어"를 원곡에 충실하게 연주한 것에 감명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 1965년에는 빅 마마 손튼, 존 리 후커, 버디 가이, 루즈벨트 사이크스 등과 함께 American Folk Blues Festival의 일원으로 유럽 순회 공연을 하기도 했다.[7][2]

미시시피주 잭슨에 있는 말라코 스튜디오(Malaco Studios)에서 녹음되어 캐피틀 레코드에서 발매된 맥도웰의 1969년 앨범 《I Do Not Play No Rock 'n' Roll영어》은 그의 첫 번째 일렉트릭 기타 피처링 앨범이었다.[2] 이 앨범에는 블루스의 기원과 사랑의 본질에 대해 논하는 인터뷰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의 라이브 앨범 《Live at the Mayfair Hotel영어》(1995년 발매)은 그가 1969년에 가진 콘서트 실황이다. 여기에는 부카 화이트의 "Shake 'Em On Down영어", 윌리 딕슨의 "My Babe영어", 맨스 립스콤의 "Evil Hearted Woman영어" 그리고 맥도웰이 직접 작곡한 "Kokomo Blues영어" 등의 연주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의 온라인 음악 데이터베이스인 올뮤직은 이 앨범이 "맥도웰의 작품 중 최고의 싱글 CD일 수 있으며, 확실히 최고의 콘서트 발매작"이라고 언급했다.[8] 1969년 맥도웰의 포크송 "John Henry영어" 버전은 2019년 발매된 《Ann Arbor Blues Festival 1969: Vols 1&2영어》에 수록되어 있다.[11] 맥도웰의 마지막 앨범[9] 《Live in New York영어》(Oblivion Records)는 1971년 11월 뉴욕 그리니치빌리지의 빌리지 가스라이트(Village Gaslight, The Gaslight Cafe로도 알려짐)[10]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이다.[10]

1972년 맥도웰은 68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고,[2] 미시시피주 코모와 세나토비아 사이에 있는 해먼드 힐 침례교회(Hammond Hill Baptist Church)에 묻혔다. 1993년 8월 6일, 시온산 기념기금(Mount Zion Memorial Fund)에 의해 그의 묘비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행사는 블루스 홍보자인 딕 워터맨(Dick Waterman)이 주관했으며, 맥도웰의 초상화가 새겨진 기념비는 보니 레잇이 기증했다. 이 기념비는 부정확하고(맥도웰의 이름이 잘못 표기됨) 손상된 이전 표지석을 대체한 것이다. 원래 표지석은 이후 맥도웰의 가족이 미시시피주 클라크스데일에 있는 델타 블루스 박물관(Delta Blues Museum)에 기증했다. 맥도웰은 프리메이슨이었고 프린스 홀 프리메이슨리(Prince Hall Freemasonry)와 관련이 있었으며, 프리메이슨 의복을 입은 채 매장되었다.[12][13]

3. 음반 목록

미시시피 프레드 맥도웰은 수십 년간 지역 행사에서 연주 활동을 이어오다 1959년, 민속 음악학자 앨런 로맥스(Alan Lomax)와 셜리 콜린스(Shirley Collins)에 의해 처음으로 녹음되었다.[2][4] 이는 로맥스와 콜린스가 진행하던 남부 음악 현장 녹음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4] 당시 미국 내 블루스포크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시기와 맞물려, 이 현장 녹음은 블루스 애호가들과 음반 제작자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맥도웰은 전문 음악가이자 음반 아티스트로 활동하게 되었으며,[2] 그의 LP 음반들은 상당한 인기를 얻어 전 세계의 축제와 클럽에서 공연을 펼쳤다.[5]

3. 1. 정규 앨범


  • ''I Do Not Play No Rock 'n' Roll'' (1969)

미시시피주 잭슨에 있는 말라코 스튜디오(Malaco Studios)에서 녹음되어 캐피톨 레코드에서 발매된 맥도웰의 첫 일렉트릭 기타 사용 앨범이다.[2] 이 앨범에는 블루스의 기원과 사랑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는 인터뷰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Live at the Mayfair Hotel'' (1995)

1969년 콘서트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이다. 버카 화이트의 "Shake 'Em On Down", 윌리 딕슨의 "My Babe", 먼스 립스컴의 "Evil Hearted Woman"과 같은 커버곡과 맥도웰 자신의 곡인 "Kokomo Blues"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올뮤직은 이 앨범을 "맥도웰의 작품 중 최고의 싱글 CD일 수 있으며, 확실히 최고의 콘서트 발매작"이라고 평가했다.[8]

  • ''Live in New York'' (1971)

맥도웰의 마지막 앨범으로,[9] Oblivion Records에서 발매되었다. 1971년 11월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빌리지 가스라이트(Village Gaslight, The Gaslight Cafe로도 알려짐)[10]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을 녹음한 것이다.[10]

3. 2. 라이브 앨범

맥도웰의 라이브 공연을 담은 여러 앨범이 발매되었다.

1969년 콘서트 실황을 담은 ''Live at the Mayfair Hotel영어''은 1995년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버카 화이트(Bukka White)의 "Shake 'Em On Down영어", 윌리 딕슨(Willie Dixon)의 "My Babe영어", 먼스 립스컴(Mance Lipscomb)의 "Evil Hearted Woman영어" 그리고 맥도웰 자신이 작곡한 "Kokomo Blues영어" 등의 연주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 올뮤직(AllMusic)은 이 앨범이 "맥도웰의 작품 중 최고의 싱글 CD일 수 있으며, 확실히 최고의 콘서트 발매작"이라고 평가했다.[8]

또한 1969년 앤아버 블루스 페스티벌에서의 공연 중 맥도웰이 부른 존 헨리(John Henry) 버전은 2019년에 발매된 ''Ann Arbor Blues Festival 1969: Vols 1&2영어''에 수록되어 있다.[11]

맥도웰의 마지막 앨범으로 알려진[9] ''Live in New York영어''는 오블리비언 레코드(Oblivion Records)에서 발매되었으며, 1971년 11월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Greenwich Village)의 빌리지 가스라이트(Village Gaslight, The Gaslight Cafe로도 알려짐)[10]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을 담고 있다.[10]

3. 3. 컴필레이션 앨범

1969년 맥도웰이 부른 포크송 "존 헨리(John Henry)"는 2019년에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 《앤 아버 블루스 페스티벌 1969: 볼륨 1&2(Ann Arbor Blues Festival 1969: Vols 1&2)》에 수록되었다.[11]

4. 참고 문헌


  • 윌리엄 R. 페리스 (1988). ''델타 블루스(Blues from the Delta)''. 개정판. 다 카포 프레스. ISBN 0-306-80327-5. ISBN 978-0306803277.
  • 윌리엄 R. 페리스 (2009). ''내 가난한 마음을 편안하게 해줘요: 미시시피 블루스의 목소리(Give My Poor Heart Ease: Voices of the Mississippi Blues)''.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판부. ISBN 0-8078-3325-8. ISBN 978-0807833254 (CD 및 DVD 포함).
  • 윌리엄 R. 페리스, 글렌 힌슨 (2009). ''남부 문화 백과사전(The New Encyclopedia of Southern Culture)''. 14권, ''민속(Folklife)''.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판부. ISBN 0-8078-3346-0. ISBN 978-0-8078-3346-9.
  • 테드 조이아 (2009). ''델타 블루스: 미국의 음악 혁명을 일으킨 미시시피 거장들의 삶과 시대(Delta Blues: The Life and Times of the Mississippi Masters Who Revolutionized American Music)''. W. W. 노턴. ISBN 0-393-33750-2. ISBN 978-0393337501.
  • 셸던 해리스 (1979). ''블루스 누가 누구(Blues Who's Who)''. 다 카포 프레스.
  • 제라르 헤르츠하프트, ''블루스 백과사전(Encyclopedia of the Blues)'' (아칸소 프레스)
  • 앨런 로맥스 (1993). ''블루스가 시작된 땅(The Land Where the Blues Began)''. 뉴욕: 판테온.
  • 로버트 니콜슨 (1999). ''오늘날의 미시시피 블루스(Mississippi Blues Today!)''. 다 카포 프레스. ISBN 0-306-80883-8, ISBN 978-0-306-80883-8.
  • 로버트 파머 (1982). ''딥 블루스: 미시시피 델타의 음악적 문화적 역사(Deep Blues: A Mus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Mississippi Delta)''. 펭귄 재판. ISBN 0-14-006223-8. ISBN 978-0-14-006223-6.
  • 찰스 리건 윌슨; 윌리엄 R. 페리스; 앤 제이 아다디 (1989). ''남부 문화 백과사전(Encyclopedia of Southern Culture)''. 제2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판부. ISBN 0-8078-1823-2. ISBN 978-0-8078-1823-7.

참조

[1] 서적 Blues: A Regional Experience Praeger
[2]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Blues Guinness Publishing 1995
[3] 음반 Delta Blues Arhoolie
[4] 서적 America over the Water S.A.F.
[5] 서적 The Blues: From Robert Johnson to Robert Cray Carlton
[6] 웹사이트 Mississippi Fred McDowell https://www.scribd.c[...] Scribd.com 2013-11-07
[7] 웹사이트 American Folk Blues Festival Discography http://www.wirz.de/m[...] Wirz.de 2013-03-31
[8] 웹사이트 Live at the Mayfair Hotel - Mississippi Fred McDowell | Songs, Reviews, Credits https://www.allmusic[...]
[9] 웹사이트 The Oblivion Records Blog http://oblivionrecor[...] Oblivionrecords.tumblr.com
[10] 웹사이트 Live at the Gaslight - Mississippi Fred McDowell https://www.allmusic[...] 2024-07-11
[11] 음반 Ann Arbor Blues Festival 1969: Vols 1&2 Third Man Records, Americana Music Productions, Inc.
[12] 뉴스 The secret history of the jazz greats who were freemasons https://www.theguard[...] 2014-07-02
[13] 웹사이트 Fred McDowell https://www.mtzion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